파킹통장 추천 TOP5
파킹통장은 말 그대로 예비자금을 주차해 놓는다는 의미로 쓰이는 통장인데요.
실제 은행에 "파킹통장"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상품은 없어요.
일반적으로 입출금이 자유롭지만 그에 비해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을 일컫는, 이른바 마케팅 용어죠.
금리는 최근 높아져서 2%대 중후반을 기록하는데, 기준금리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동반 상승하고 있는 모양새예요.
일반 입출금 통장이 0.1~0.2% 수준의 금리를 제공하는데 비해 거의 20배 이상의 금리를 제공한다는 점은 꽤 매력적이죠.
다만 은행별로 전체 금리를 모두 보장받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우대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.
오늘 소개하는 5개의 파킹통장 중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것을 선택해보시기 바라요.
카카오 뱅크 - 세이프 박스
많이들 사용하시는 카카오 뱅크 세이프 박스의 경우 최대 2.2% 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어요.
한도금액은 1억 원 이하로 꽤 높은 편이며, 계좌마다 하나씩 만들 수 있는 방식으로 운영돼요.
가입대상 : 카카오 뱅크 입출금통장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
한도 : 기본 한도 1천만 원, 증액 한도 1억 원
연이율 : 2.20% (월지급 방식)
토스 뱅크
카카오 뱅크와 함께 대표적인 인터넷 은행인 토스 뱅크는 2%의 이자율을 적용하고 있어요.
한도는 1억 원까지이며 이를 넘어가면 0.1%로 줄어들어요.
특징은 매일 이자 지급이 진행된다는 점이에요.
가입대상 : 17세 이상의 실명의 개인 (1인 1 계좌)
한도 : 없음 (단, 1억까지만 2% 이자 지급, 초과분은 0.1%)
연이율 : 2.0% (이자를 매일 지급함)
케이 뱅크 - 플러스 박스
역시 인터넷 은행 중 하나인 케이 뱅크는 2.30%의 연이율을 제공해요.
가입 최대 금액은 3%이며 월지급 방식으로 운용되죠.
케이 뱅크에 입출금통장이 있어야 하며 여기에 계좌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식이에요.
개인과 개인사업자 모두 개설이 가능하며 최대 10개 계좌까지 생성이 가능해요.
가입대상 : 당행 입출금통장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 및 개인사업자 (1인 최대 10 계좌)
한도 : 3억 원
연이율 : 2.30% (월지급)
특징 :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불가
OK저축은행 - OK세컨드 통장
개인적으로 저축은행을 선호하지는 않지만, 금리면에서 일반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은 저축은행을 따라갈 수가 없어요.
OK저축은행은 최근 온라인 마케팅에서 많이 보는 회사인데요.
최대 3.3%의 금리를 제공하는 파킹통장 상품을 판매 중이에요.
가입대상 : 실명의 개인 (개인사업자 포함), 1인 1회 1 계좌 개설 가능
한도 : 1천만 원까지 3.3% , 초과분 0.7%
연이율 : 최대 3.3% 적용 (월지급)
특징 :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불가
페퍼 저축은행 - 페퍼스 파킹통장
역시 저축은행중의 하나인 페퍼 저축은행에서 내놓은 상품이에요.
연이율 최고 3.2% 가 적용되며, 월지급 방식이에요.
단점이라면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불가라는 점인데, 한도가 남아있으신 분들은 다른 쪽을 찾아보셔야 하죠.
가입대상 : 개인고객(1인 1 계좌)
한도 : 제한 없음, 금액별 이율 차등적용
연이율 : 5천만 원까지 3.2% 적용, 초과분 1.0% (월지급)
특징 :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불가
이상으로 원금을 보장하면서 연 2% 이상 금리를 제공하는 파킹통장 TOP5를 살펴봤어요.
그 외 과거에 유행했던 CMA 통장들도 고금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여요.
다만, 여긴 5,000만 원의 원금보장도 안 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불안하신 분들은 하시면 안 돼요.
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^^
'경제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상공인 새출발기금 신청 방법 알아봤어요~ (0) | 2022.09.30 |
---|---|
건축물대장 무료열람 및 발급 방법 알아봤어요~ (0) | 2022.09.28 |
더블유씨피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 알려드려요~ (0) | 2022.09.20 |
파이어족 뜻, 조기은퇴 조건 알아봤어요~ (0) | 2022.09.19 |
2022 청년희망적금 vs 2023 청년도약계좌 비교해봤어요~ (0) | 2022.09.18 |